2013년 10월 14일 월요일

10년후엔 `電맥경화` 위기…분산형 발전 늘려야

10년후엔 `電맥경화` 위기…분산형 발전 늘려야


수도권지역 송전용량 가득차 전력공급에 한계
2013.08.08 17:48:23 입력, 최종수정 2013.08.12 10:26:08

◆ 전력누수 사각지대 없애자 ③ ◆


지난달 말 경기 김포시 양촌면 한국전력 신김포변전소. 1만8000㎡ 용지에 고압 전기를 나누기 위한 어른 몸통 굵기 케이블이 즐비하다. 이곳은 서인천복합발전, 인천화력 등 인천지역 4개 발전소에서 생산된 전기를 수도권으로 배달하는 중부지방 전력 공급 목줄이다. 신김포변전소 등 한전 인천본부를 통해 수도권 전기 42%가 공급된다.

하지만 상황은 아슬아슬하다. 이미 대부분 송전선이 `동맥경화` 한계 상황에 이르렀기 때문이다. 이곳 인천지역 고압 송전선으로는 설비용량의 90%에 달하는 전기가 흐르고 있다. 전선이 감당할 수 있는 한도를 거의 가득 채운 상태로 전기가 운반되고 있다는 얘기다.

김재승 한국전력 송전팀장은 8일 "주력 송전로는 물론 유사시 전기를 실어나르기 위한 대체 송전로까지 용량이 거의 찼다"며 "송전설비에 부담이 걸려 있는 상태에서 이상이 생기면 곧바로 광역정전(블랙아웃)이 발생할 수도 있는 상황"이라고 다급한 분위기를 전했다. 통상 전력난이 터질 때마다 빈번히 제기되는 문제점이 공급의 위기다. 쓰는 만큼 전기가 제대로 생산되지 않고 있다는 불만이 팽배하다. 하지만 현실적으로 발생할 수 있는 더 큰 위험은 전력 혈관인 송전선에 숨어 있다.

사용량 증가와 발전소 확대로 전기 생산량은 많아졌다. 그러나 전기가 달리는 국내 전력 `고속도로`는 여전히 협소하다. 최근 밀양 송전탑 건설 문제 등에서 보듯이 지역 주민들 목소리가 커지며 송전설비 짓기가 매우 까다로워졌기 때문이다.

드러나지 않은 송전선 문제는 심각하다. 매일경제가 산업통상자원부 `중장기 전력계통 운영전망`을 분석한 결과 2024년이면 대부분 송전 설비 용량이 가득 차 발전소를 짓고 싶어도 더 이상 짓지 못하는 사태가 닥칠 것으로 분석됐다. 각 지역에 들어설 발전소 설비와 송전 설비 용량을 비교한 결과다. 국내 주요 발전단지 14곳 가운데 울산, 고리, 남부산, 여수ㆍ광양, 영광 등 무려 9곳이 추가 발전소 건설 여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14개 발전단지 설비용량은 총 7789만㎾까지 불어난다. 하지만 송전 설비용량은 1만8375㎾에 불과하다. 송전설비가 유사시 사고에 대비해 2개 이상 회선으로 구성된다는 점에 비춰보면 실제 전기가 흐를 수 있는 용량은 9188만㎾에 그친다. 불과 10여 년 뒤면 송전선 85%가 가득 차며 대부분 발전단지에서 필요한 발전소를 지을 수 없게 된다는 뜻이다.

전력당국 관계자는 "태풍 등 천재지변으로 전선이 끊어지는 사건이라도 발생하면 광역정전이 터질 가능성도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전문가들은 다가올 `전맥경화(電脈硬化)` 사태를 막기 위해 지금부터라도 전력 수요가 있는 곳 근처에 발전소를 건설해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현재 전력 계통 상황을 뜯어보면 전기를 많이 잡아먹는 지역과 생산하는 곳이 제각각이다. 일례로 수도권은 전국 전기 36%를 소비하고 있지만 생산하는 전력은 24%에 불과할 정도로 수급불균형이 심각하다.

반면 밀양 등 영남지역은 전력 사용 비중은 30%에 그치지만 생산되는 전력은 38%로 전국에서 가장 많다. 전력 생산지와 소비지가 멀찌감치 떨어져 있다 보니 그만큼 전기 수송비가 늘어날 수밖에 없고 `배달사고` 위험성도 커진다.

전문가들은 원거리 전력 배달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지역별 차등 요금제를 도입하거나 산업단지 등 전력 수요가 큰 지역에 직접 발전소를 짓도록 유도하는 정책을 써야 한다고 강조했다. 신재욱 LG경제연구원 책임연구원은 "발전소와 송전선로 인근 지역은 저렴한 요금제를 적용하고 전력 인프라스트럭처에서 멀리 떨어진 도심 등에는 높은 요금제를 적용하는 방식의 요금 개편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연료비 세제 지원 등을 통해 기업 자가발전을 활성화해야 한다는 목소리도 힘을 얻는다.

매경ㆍLG경제硏 공동기획

<시리즈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