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EC]"에너지 대전환으로 삼중고 넘어서자" | ||||||
박근혜 대통령 2013WEC 특별 연설서 비전 제시 | ||||||
| ||||||
박근혜 대통령이 지난 16일 2013대구세계에너지총회 특별 연설을 통해 에너지 삼중고를 극복하기 위한 국내·외 에너지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오전 10시부터 진행된 ‘에너지정책의 트레일레마 극복하기’라는 주제로 열린 오프닝 세션에 참석, 에너지 삼중고를 성공적으로 극복해온 한국 경험을 소개하고 시장 변화에 따른 국내·외 에너지 정책 비전을 제시했다. 이날 박 대통령이 제안한 대안을 관통하는 키워드는 ‘대전환’이었다. 특히 창조경제와 에너지 문제를 접목시킨 해법도 함께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에너지 삼중고 해결을 위해 “창의적 아이디어와 과학기술, IT를 접복하는 ’창조형 에너지경제‘모델로의 패러다임 전환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에너지 절약과 환경개선 노력이 새로운 시장과 일자리를 창출하는 선순환 에너지 경제 환경을 만들어야 한다는 설명이다. 박 대통령은 이와 관련 “에너지 산업은 창조경제 패러다임이 빛을 발할 수 있는 분야로, 에너지 저장장치(ESS), 에너지 관리시스템(EMS) 등 정보통신기술(ICT)을 적극 활용해 전력 소비를 줄이고, 절약된 전력을 전력거래시장에서 판매할 수 있는 체계를 구축할 것”이라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어 “에너지 생산국과 소비국 사이의 장벽을 허무는 ‘글로벌 에너지협력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강조하고 “깨끗하고 안전하며 모두가 이용가능한 에너지 확보를 위해 기존 에너지 정책과 제도의 재검토를 전제로 하는 ‘에너지 정책과 제도’의 대전환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특히 박 대통령은 에너지 삼중고 문제 해결을 위해 한국이 국제협력에 적극 나설 것임을 역설했다. 박 대통령은 “한국은 그간의 성공적인 경험을 토대로 에너지 삼중고 해결을 선도하며 세계 에너지시장에 기여해 나갈 것”이라며 “한국이 창조형 에너지경제로의 전환 경험과 노하우를 국제사회와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이어 “원유 수입국이자 석유제품 수출국가로서 국제사회의 입장을 조율하고 협력을 이끌어내는 일에도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박 대통령은 또“에너지 생산국과 소비국 정부, 에너지 관련 산업과 시민사회 간의 ‘깨끗하고 안전하며 모두가 이용 가능한 에너지’를 위한 대화·협력에 적극 동참하고 기여하겠다”며 “한국이 ‘아시아 에너지장관회의’와 이번 ‘세계에너지총회’ 등 에너지 관련 국제회의를 잇달아 개최한 것도 이런 의지의 표명”이라고 강조했다. | ||||||
2013년 10월 20일 일요일
[WEC]"에너지 대전환으로 삼중고 넘어서자"
피드 구독하기:
댓글 (Atom)
댓글 없음:
댓글 쓰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