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9월 26일 목요일

남부발전, 이색 발전주기기 안착식 거행, 복합화력 최고 효율 54.97% 오는 12월 31일 전부하운전 목표

남부발전, 이색 발전주기기 안착식 거행
복합화력 최고 효율 54.97%
오는 12월 31일 전부하운전 목표
[0호] 2013년 09월 26일 (목) 16:57:08김재화 기자  arjjang21@naver.com
  
▲ 이상호 남부발전 사장(왼쪽 두 번째)과 김종갑 지멘스 코리아 회장(오른쪽 두 번째)이 전통혼례방식으로 치러진 안동천연가스발전소 주기기 안착식에 참여하여 관계자들과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남부발전이 특별한 발전주기기 안착식을 거행하며 발전설비에 독일식 기술을 접목시켰다.

한국남부발전(주)(사장 이상호)이 SIEMENS와 지난 24일 안동 천연 가스 건설소에서 이색적인 발전주기기 안착식을 거행했다고 밝혔다.

남부발전은 SIEMENS 기술개발로 태어난 발전설비가 Global Top 10을 향해 도약하는 청렴한 전통가문 남부발전에 시집와서 앞으로 전력계통과 회사수익성 향상에 크게 기여하고 양사가 기술협력을 통해 상생발전하자는 상징적 측면에서 이색적으로 주기기 안착식을 전통혼례형식으로 진행했다.

경북 안동시 풍산읍장의 집례로 진행된 이번 행사는 남부발전 직원(여경원 씨)과 SIEMENS 직원(Diana양)이 신랑신부 대리로써 주기기 현장설치를 기념했다.

SIEMENS Korea 김종갑 회장은 “귀한 설비를 명문가문 남부발전에 시집보내게 된 것을 자랑스럽게 생각하며 백년손님 남부발전을 위해 정성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호 사장은 “최고효율의 명품 발전설비를 며느리로 보내준 것에 감사하다”며 “남부발전의 뛰어난 발전기술로 더욱 잘 운영할 것”을 약속했다.

한편 독일 베를린에서 약 8800km를 건너와 한국정신문화 수도 안동에 자리 잡은 발전설비는 복합화력 최고 효율(54.97%)의 일축형 설비로 지난 4월 현장에 도착했다. 남부발전은 현재 안동천연가스발전소 건설을 약 87% 공정 수행 중이며, 오는 11월 최초 발전개시와 12월 31일 전부하운전을 목표로 두고 있다. 

日, 세계 최초 수소발전소 건설하나, 2015년 90MW 생산 목표

日, 세계 최초 수소발전소 건설하나
2015년 90MW 생산 목표
2013년 09월 24일 (화) 11:39:57신승훈 기자  shin@koenergy.co.kr
일본에 세계 최초의 수소발전소가 건설될 가능성이 제기됐다. 일본의 가와사키시와 치요다화공건설이 공동으로 ‘수소에너지 프론티어 국가전략 특구’를 국가에 제안한 것.
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에 따르면 일본의 가와사키시와 치요다화공건설은 2015년을 가동을 목표로 도쿄 연안에 수소공급그리드를 구축하고 세계 최초로 상용 수준의 수소발전소를 건설할 계획을 세웠다.
이 계획은 도쿄 연안의 가와사키시 임해부에 대규모 수소 에너지의 공급 거점을 구축하는 내용으로, 핵심이 되는 ‘수소공급그리드’와 ‘수소발전소’를 2년 후인 2015년에 실현하는 것이 목표다. 
원자력을 대체할 것으로 기대되는 이번 구상이 현실화 될 경우 일본은 세계 최초의 상용 수소발전소를 보유하게 된다. 발전규모는 90MW로 연간 이용되는 수소는 6.3억Nm3로 예상되고 있다.
이 발전소에서는 수소와 액화천연가스(LNG, liquified natural gas)를 혼합 연소시킨 발전방식도 시험해 발전량 등의 데이터 수집과 연소 노하우를 축적한다는 게획이다. 혼합연소 발전을 실용화할 수 있다면 액화천연가스를 연료로 사용하는 화력발전소에 수소를 공급하여 이산화탄소 배출량 감소를 도모할 수 있다.
  
▲ 대규모 수소 저장 및 수소시스템의 데모 플랜트와 저장 탱크. 사진=한국과학기술정보연구원
수소공급그리드는 대량의 수소를 수송 및 저장하는 기술을 살려 가와사키시 임해부의 각종 시설에 수소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한다는 계획이다. 연간 수소이용량은 발전소를 상회하는 7억Nm3로 예상되고 있다.
수소를 수송 및 저장하는 방법은 ‘유기 화학수소하물(chemical hydride)법’을 채용한다. 가스 상태인 수소를 액체로 전환하는 방법의 일종으로 톨루엔과 메틸시클로헥산(MCH, Methyl Cyclohexane) 등 두 종류의 액체를 이용한다. 톨루엔과 수소를 반응시키면 메틸시클로헥산이 되고, 메틸시클로헥산의 상태로 상온 및 상압상태로 수송하거나 저장할 수 있다. 수소를 이용하는 경우는 역반응(탈수소)으로 메틸시클로헥산으로부터 가스를 생성시킨다. 이 탈수소에는 대량의 열이 필요하기 때문에 수소발전소의 배열을 재이용할 계획이다.
이와 관련 치요다화공건설은 이미 유기 화학수소화물법을 사용한 수소의 수송 및 저장시스템의 실증시험을 추진하고 있다. 가나가와현 요코하마시에 있는 사업소에 데모 플랜트와 저장탱크를 건설하고, 대량수송 및 장기 저장이 가능하다는 것을 확인한 상태로 알려졌다.
한편, 가와사키시와 치요다화공건설이 제안한 국가전략특구가 아베정권의 성장전략 프로젝트로 채용될 경우 10월 중에 몇 곳의 특구가 지정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한신평, ㈜E1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 AA-

한신평, ㈜E1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 AA-
안정적 LPG공급구조·대체자금 조달력 평가
2013년 09월 26일 (목) 17:57:28서민규 기자  mkseo@koenergy.co.kr
한국신용평가는 지난 25일 ㈜E1의 발행예정인 제26회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을 AA-(안정적)으로 평가했다.

한신평은 국제도입단가와 환율변동 등에 대한 가격대응능력, 전국적 유통망에 기반한 안정적인 LPG 공급 구조, 우수한 자산가치에 기반한 대체자금 조달력 등을 감안할 때 동사의 신용도의 전망을 안정적으로 봤다.

국내 LPG 산업은 2개 수입사(동사와 SK가스)와 4개 정유사(SK에너지, GS칼텍스, S-Oil, 현대오일뱅크)의 과점적 경쟁 구도로 형성되어 있으며, 동사는 인천, 여수 및 대산의 대규모 저장기지와 전국적 판매 Network를 바탕으로 우수한 시장지위를 확보하고 있다. LPG 수입·판매는 저장시설과 유통망의 구축 등으로 인하여 신규 진입이 용이하지 아니해 향후에도 우수한 시장지위를 유지할 전망이다.

국내 LPG 소비량은 LPG 등록 차량의 감소로 인한 운수용 수요의 감소, 도시가스 보급 확대 정책으로 인한 가정상업용 수요의 감소 등으로 2010년 이후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추세다. 다만, 동남·동북 아시아를 대상으로 한 중계수출 물량의 확대, 고유가 기조 지속에 따른 석유화학용 대체 수요의 회복 등에 힘입어 전체적인 판매량 수준은 견조하게 유지되는 것으로 분석된다.

또한 LPG의 대중연료로서의 특성상, 최종소비자에 대한 판매가격이 외생변수의 변동에 따라 탄력적으로 조정되지는 않으나, 시차를 두고 도입가격과 환율의 변동분, 운송비와 유통마진 등이 판매가격에 반영되고 있어 비교적 안정적인 영업이익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2013년 6월 말 현재 총차입금 규모는 1조328억원으로 동사의 자금창출력 대비 다소 과다한 수준(총차입금/수정EBITDA : 10.8배)이나, 차입금의 약 36%가 매입채무 성격의 Banker’s Usance 등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우수한 보유자산 가치(충전소 및 저장기지 부지 4,370억원 및 LS네트워크 지분가치 6784억원 등)에 기반한 대체자금 조달력을 감안할 때, 실질적인 재무안정성은 우수한 것으로 판단했다. 

충북,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2곳 선정

충북, 신재생에너지 융복합사업 2곳 선정
총 사업비 29억…연간 1809㎿h 전기생산 효과
2013년 09월 26일 (목) 14:57:27신승훈 기자  shin@koenergy.co.kr
충청북도는 청원군 문의면 소전리 벌랏마을과 진천군 문백면 공예마을이 산업통상자원부가 공모한 신재생에너지 융·복합 지원사업 대상으로 선정됐다고 26일 밝혔다.
이 사업은 태양광, 태양열, 풍력, 지열 등 2종 이상의 에너지원을 함께 설치해 마을 단위 또는 개별가구에 에너지를 공급하는 것이다.
충북도는 전국에서 9개 마을을 선정하는 공모사업에서 ‘청원 소전 벌랏마을’이 최고 수준의 평가를 받았다고 설명했다.
내년까지 국비 14억 1700만원을 포함 총 29억원의 사업비가 투입될 예정으로 마을회관 등 공용시설과 개별주택에 태양광, 태양열, 지열 등 융·복합 신재생에너지 발전설비를 설치하게 된다. 충북도는 두 마을을 합해 연간 1809㎿h의 전기생산 효과를 얻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경기도, 200kW↓ 발전사업 허가 시·군에 위임

경기도, 200kW↓ 발전사업 허가 시·군에 위임
이르면 12월부터… 소요기간 한달 이내로 단축
2013년 09월 23일 (월) 18:18:19남수정 기자  nam@koenergy.co.kr
경기도 내 200kW 이하 소규모 발전사업 허가를 시·군 단위에서 받을 수 있게 된다.

23일 경기도에 따르면 산업부로부터 위임받아 수행해오던 전기사업 허가를 시군에 재위임하기 위해 지난 8월 산업부의 승인을 받았으며 현재 경기도 사무위임 규칙 개정을 추진 중이다.

이에 따라 이르면 12월부터 시군에서 발전사업 허가를 받을 수 있을 전망이다.

재위임 대상은 설비 용량이 200kW 이하 발전사업에 대한 ‘사업의 허가’와 ‘공사계획 또는 사업개시 신고의 접수’ 등이다.

2012년 신재생에너지 공급의무화제도(RPS) 시행 이후 태양광 발전시설 허가신청이 전년 대비 4배 이상 급증함에 따라 허가 절차에 필요한 시간과 비용을 줄이기 위한 것이다.

한성기 경기도 기업지원2과장은 “소규모 발전사업에 대한 수요가 당분간 계속 확대될 것으로 본다”라며 “이번 조치로 최근 40여일까지 소요되는 발전사업 허가 기간이 1개월 이내로 크게 단축되고 민원인의 불편도 많이 해소될 것”이라고 말했다.

[2014년 예산] 전력부하관리기금 84% 삭감


[2014년 예산] 전력부하관리기금 84% 삭감
내년 총 예산 395억… “돌발사태 대비 가능한가” 우려 비등
2013년 09월 26일 (목) 19:12:18신승훈 기자  shin@koenergy.co.kr
기획재정부가 발표한 2014년 예산안 중 전력부하관리기금이 올해의 2500억원에서 395억원으로 84%나 삭감되면서 우려의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원전 가동 정지 등 돌발 사태가 발생할 경우 전력위기에 제대로 대처할 수 있겠느냐는 지적이다.
26일 발표된 2014년 예산안에 따르면 에너지 및 자원개발 예산은 올해 본예산 4조5454억원, 추경 4조3654억원에서 대폭 삭감된 4조335억원으로 책정됐다.
삭감항목 중  전력부하관리 예산이 2500억원에서 395억원으로 깎인 것과 5900억원에서 4800억원으로 삭감된 석유공사·광물자원공사 출자금이 단일 항목으로는 가장 큰 삭감액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를 두고 업계 관계자들은 내년에도 전력 위기가 닥친다면 긴급수요관리 등 전력부하를 조절하는 데 심각한 차질을 빚을 수 있다는 우려를 나타냈다.
소식을 접한 업계 한 관계자는 "전력부하관리기금은 2011년 9·15 순환정전 사태 이전에도 700억∼800억원대였고, 2012년에는 4000억원에 육박했다"면서 "올해도 전력난이 극심했던 8월 12∼14일 사흘간 100억원을 투입하는 등 2000억원에 이를 것이라는 게 전력당국의 추정인 상황에서 84%나 예산을 삭감한 것이 과연 현실성이 있는 것인지 의문"이라고 지적했다.

2013년 9월 25일 수요일

새로운 촉매 개발로 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겨

새로운 촉매 개발로 연료전지 상용화 앞당겨
UNIST-에기연, 제조비용 10분의 1… 대량 생산에도 유리
2013년 09월 24일 (화) 19:37:30남수정 기자  nam@koenergy.co.kr
  
값비싼 백금계 연료전지 촉매를 대체할 수 있는  저렴한 비백금계 촉매가 국내 연구진에 의해 개발됐다.

UNIST 주상훈 교수 연구진과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 박구곤 선임연구원 연구팀은 철 또는 코발트와 같은 값싼 금속과 질소, 그리고 탄소로 이루어진 나노다공성 포피린 탄소 촉매를 개발했다고 24일 밝혔다.

나노다공성 물질은 나노미터 크기의 균일한 기공이 규칙적으로 연결된 물질이고 포피린은 금속과 질소 네 개가 결합한 탄소계 화합물이다.

이번에 개발된 촉매는 제조 비용이 기존 백금계 촉매의 10%로 저렴한데다 성능과 안정성 측면에서도 백금촉매보다 뛰어나 연료전지 상용화를 앞당길 것으로 기대된다.

주상훈 교수는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의 경우 지금까지는 차량 1대당 촉매 제조비용이 1000만원 이상으로 원가부담이 컸으나 새로운 촉매를 적용하면 10분의 1인 100만원 미만으로 줄일 수 있다"며 "이 촉매 개발로 수소 연료전지 자동차의 상용화를 크게 앞당길 것으로 기대한다"고 설명했다.

새로운 촉매는 연료전지의 성능을 좌우하는 산소환원 반응에서의 효율도 백금 촉매보다 80% 가량 높아 현재까지 보고된 비백금계 촉매 중에서 가장 높은 성능을 보였다. 내구성도 백금촉매보다 6배 이상 높았고, 촉매활동을 저하하는 촉매독에 대한 안정성도 훨씬 높았다. 이 촉매는 다른 비백금계 촉매보다 합성 조건이 간단하여 대량합성이 쉽다는 점도 장점이다.

주상훈 교수는 "새로운 나노다공성 포피린 탄소 촉매는 높은 산소환원 반응 성능을 보이면서, 대량생산에 용이한 비백금계 촉매라는 점에서 혁신적인 성과"라며 "가정용 비상전력용 기술로도 사용할 수 있어 전력공급 부족 상황에서 좋은 대비책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이번 연구는 교육부(장관 서남수)와 한국연구재단(이사장 이승종)이 추진하는 기본연구자사업 및 한국에너지기술연구원-유니스트 차세대에너지센터, 미래기초과학핵심리더양성사업 그리고 글로벌박사펠로쉽 사업 등의 지원으로 수행했다.

연구결과는 네이처 퍼블리싱 그룹이 발행하는 사이언티픽 리포트지 23일자 인터넷 속보에 게재됐다.

2013년 9월 24일 화요일

“화석연료 패러다임으론 미래 없어”

“화석연료 패러다임으론 미래 없어”
남기웅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장
2013년 09월 13일 (금) 19:46:39신승훈 기자  shin@koenergy.co.kr

  
▲ 남기웅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신재생, 보급 속도보다 성장기반 구축에 주목
구체적 이행수단 중점 검토…시장 창출에 주력

“언제까지 정부와 한전이 에너지를 무한 공급할 것인가? 화석연료 중심의 정책 패러다임에서 탈피할 수 있도록 신재생에너지 성장기반 구축에 집중하겠다”

남기웅 에너지관리공단 신재생에너지센터 소장은 지난 10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화석연료 중심의 기존 정책 패러다임에서 벗어나지 못하면 국가의 미래는 없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남기웅 소장은 “디지털 시대에 아날로그 스타일의 의사결정을 하면 되겠느냐”면서 “에너지 패러다임이 수요자 중심, 시장중심, 매크로(Macro, 대규모)에서 마이크로(Micro, 소규모)로 바뀌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특히 “패러다임을 바꾸면 분산전원 등을 통해 신재생에너지의 내수시장 규모도 현재보다 몇 십배 커질 것”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남 소장은 이어 “지금까지 신재생에너지 보급 속도에 집중했다면 이제는 도약의 발판을 만들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신재생에너지 산업을 성장시키기 위해 현재의 보급위주 정책을 넘어 관련 제도와 법령을 개선하는 등 이행수단을 구체화 하는 데 역량을 집중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이를 위해 남 소장이 제시한 화두는 ‘시장’이다. 신재생에너지 분야의 신규시장을 창출해 시장규모를 키우면 자연스럽게 대 정부 협상력이 높아지고, 관련 제도 개선이 동반될 경우 더 큰 성과를 낼 수 있다는 의중으로 풀이된다.

남 소장은 이와 관련 “보조금을 통해 기업과 시장을 만들어 온 공급자 위주의 신재생에너지 정책 패러다임의 중심축을 소비자(사용자)로 전환시키겠다”고 강조했다.

시범사업실시를 앞두고 있는 태양광 대여사업이 대표적인 예다. 소비자는 약 80%의 전기요금을 절약할 수 있어 이익이고, 사업자는 REP 판매로 수익을 낸다. 효율성을 기준으로 수익을 낼 수 있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능력 있는 기업 위주로 시장이 재편된다. 정부 역시 ‘산업화’와 ‘일자리 창출’이라는 명제를 만족시킬 수 있다. 

남 소장은 “실제 태양광 대여사업의 경우 산업부 차관과의 간담회에서 REP판매 및 RPS 연계 등으로 호평 받았다”며 “기획재정부에서 사업자를 위한 자금 대여방안도 적극 검토하고 있는 것으로 안다”고 전했다.

현재 시범보급 상태인 ESS의 경우 제도개선 후 본격적인 시장을 만든다는 게 남 소장의 복안이다. RPS 의무이행률 역시 보다 시장친화적인 목표치가 나올 것이라는 설명이다.

남 소장은 “정체돼 있는 국내 ESS시장의 경우 매년 1000대 이상 보급돼야 의미 있는 시장이 될 것”이라며 “공공부문 신재생에너지 의무화율을 2020년에는 30%로 상향조정할 것을 검토해 시행령을 고치는 작업 중”이라고 밝혔다. 향후 공공, 기업, 상업용 대형 건물 등으로부터 시작해서 가정용으로 순차보급한다는 계획이다.
제도개선과 함께 남 소장이 내세운 실행 수단은 ‘산업화’다. 신재생 관련 기업들이 내수 시장에서 경쟁력을 키우게 만들고 우수한 기업들의 해외 진출을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이미 쿠웨이트와 협의해 국가 부지를 확보해 3개 국내 기업을 유치해 내년 3월까지 설치를 완료할 계획이다.

남 소장은 “우즈베키스탄에서 같은 제안을 해왔는데 국내 기업의 현지 공장을 만드는 것을 포함해 역제안을 할 생각”이라며 “이럴 경우 국내기업의 해외 진출은 물론 애프터마켓까지 만들 수 있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해당 국가의 입장에서 보면 현지 공장이 세워질 경우 일자리창출과 연결되기 때문에 정책 당국의 보다 적극적인 검토가 이뤄질 것이라는 예상이다.

“저에너지 가격정책 포기해야”

“저에너지 가격정책 포기해야”
요금현실화가 에너지산업 정상화 단초
합리적 에너지가격체계구축 토론회 성료
2013년 09월 24일 (화) 16:51:45서민규 기자  mkseo@koenergy.co.kr
  
에너지원별 개선방안에 대한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지고 있다. 
생산비용의 회수를 불가능하게 하고 불필요하게 많은 소비를 유도하는 ‘저에너지 가격’, 보조 수혜자로 하여금 에너지를 과소비하도록 하는 ‘교차보조’ 등이 국내 대표적인 에너지가격문제로 지적됐다. 이러한 문제점을 타개하기 위해서는 전기요금을 현실화하고 에너지가격이 정책적, 정치적 영향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주장이다.

경제·인문사회연구회가 주최하고 에너지경제연구원이 주최한 ‘합리적 에너지가격체계구축(진단과 개선)’ 토론회가 지난 24일 서울 삼정호텔에서 개최됐다.

이번 토론회는 수요와 공급에 의한 시장원리보다는 독점적 에너지 시장, 환경적 요인 물가안정 등을 고려해 추진되고 있는 에너지가격부문의 규제정책을 점검하고 개선방안을 찾기 위한 자리로 마련됐다.

▲에너지가격체계 현황과 개선방향 ▲에너지원별 개선방안 ▲에너지가격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 등 3개 세션으로 구성된 이번 토론회에서는 정책, 기술, 전기, 가스, 지역난방 등 중요 에너지정책에 대한 다양하고 구체적인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져 참석자들의 큰 호응을 얻었다.

먼저 섹션1에서는 ‘에너지가격체계 현황과 개선방향’을 주제로 4개의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이승훈 서울대학교 명예교수는 ‘합리적 에너지 가격결정의 원리’ 주제발표를 통해 한국의 에너지정책은 충분한 물량확보가 된 반면 효율적 에너지사용이 이뤄지지 않고 있고 가스와 전기요금이 너무 낮다고 전제하고 과도기적 대책을 내놓았다.

이승훈 교수가 제시한 과도기적 대책은 전기요금 원가회수율을 100%로 하는 원가회수 보장, 용도별요금을 전압별로 변경하고 지역별 차등요금제를 도입, 발전용 가스요금을 낮추고 도시가스 요금을 올려 교차보조의 폐지, 연료비연동제 실시, 수요관리 대신 피크타임요금제 도입이다.

박광수 에너지경제연구원 선임연구원은 ‘에너지 가격체계 왜곡의 파급효과’ 발표를 통해 전력소비 증가에 따른 LNG 수입비용 증가액이 2조8948억원 달하고 대체 에너지원 소비 감소에 따른 수입비용 감소액이 2조4억원이어서 순수입비용 증가액이 8944억원에 달하는 등 가격왜곡에 따른 경제적 비용부담이 크다고 설명했다.

이에 따라 에너지 소비구조 왜곡에 의한 에너지 수입비용 증가를 억제하고 기업의 전력 절감 노력을 유도하며 전력수급 안정에 기여하기 위해 전기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전압별 요금제로 변화하는 원가반영 요금제 시행, 부하패턴 변화를 고려한 계시별 요금제 조정, 주택용 누진요금 개선, 요금현실화와 체계개편에 다른 부작용 대책 마련 등 전기요금 체계개편을 동시에 진행해야 한다고 밝혔다.

김승래 한림대학교 교수는 에너지세제개편시 통합적 관점에서 에너지원간 과세형평성 강화가 경제적, 환경적 측면에서 바람직한 정량적 모형을 실증적으로 알아 봤다.

이 결과 향후 에너지세제개편은 개편 초기에는 낮은 세율에서 출발해 5~8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Phasw-In방식의 로드맵을 가지고 여러해에 걸쳐 목표치만큼 인상하는 방식이 보다 현실적으로 나타났다.

탄소세 도입관련 에너지세제개편은 에너지원별 탄소배출 등 외부비용 유발에 충실히 비례하면서 비교적 낮은 세율로 과세하되 통합에너지세제 관점에서 현행 비과세인 석탄 및 전기로 과세대상을 더욱 활대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향후 에너지세제개편시 석탄 및 전기로 과세대상을 확대하고 에너지원간 과세형평성을 제고해 나가는 것이 국가적으로 탄소저감이나 환경편익 개선을 위한 세제의 환경정책 수단의 사회적, 경제적 비용효과성 측면에서 중요하다고 판단했다.

강승진 한국산업기술대학교 교수는 에너지가격 규제체계 적정화를 강조했다.

강승진 교수는 에너지원간 공정경쟁 유도, 외부효과를 고려한 에너지 과세체계 정립, 원가주의에 입각한 네트워크 에너지에 대한 가격 규제, 에너지공급사의 경영효율을 제고시키기 위한 유인규제 도입 검토 등을 기본방향으로 설정했다.

정책운영의 관점에서는 정치적, 정책적 고려를 지양하고 조세부과 및 요금규제는 원칙에 충실하는 한편, 정책당국의 지나친 개입 없이 규제기관 및 규제기능의 독립성 유지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정책적 우선순위에서도 에너지가격정책이 거시정책의 보조수단에서 탈피해야 한다고 밝혔다.

주제발표에 이어진 토론에서도 에너지가격구조와 정책에 대한 비판이 계속됐다.

김태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전력가격이 투입에너지인 석유 가격보다 낮아 에너지수급 구조가 왜곡됐다며 에너지세제 개편을 통한 전력과 비전력간 에너지수급 구조 왜곡을 시정할 필요가 있다고 밝혔다.

이를 위해 석유류 및 LNG에 부과되고 있는 세금을 감세하고 비과세인 발전용 유연탄에 과세해 상대가격을 조정하는 한편, 비수송용 에너지원 중 LNG는 분산형 전원 보급을 위해, 프로판과 등유 등은 에너지복지차원에서 적극적인 과세 완화가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종수 서울대학교 교수도 향후 에너지세제개편 추진에 있어서 세수중립의 원칙, 물가안정의 원칙, 소득 계층별 형평성 원칙, 합리적 에너지믹스 달성의 원칙에 따라 이뤄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박호정 고려대학교 교수는 에너지가격의 조정과 함께 시장 참여자들의 합리성 유지를 중요한 과제로 들었다.

배출권거래제가 시행예정인 상태에서 탄소세의 경우 이중규제의 정책피로 현상에 주목해야 하며, 배출권거래제나 탄소세 시행시 비용이 전력요금에 부과되는 것이 허용돼야 에너지 소비, 온실가스 배출감축과 환경기술 촉진이라는 목적을 달성할 수 있을 것이라고 주장했다. 전력요금에 대해서는 선진국도 공공요금으로서의 성격을 갖고 접근하고 있다며 급격한 전환보다는 소비자 선택요금 시행을 통해 단계적으로 이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섹션2는 에너지원별 개선방안에 대해서 3개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홍준희 가천대학교 교수는 ‘공평한 성장과 전기요금 정상화 정책’발표를 통해 현재의 ‘낮은 전기요금’ 정책을 버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낮은 전기요금으로는 전력다소비, 수급대란, 과다한 수요관리 비용 등을 해결할 수 없어 전기요금을 ‘가치에 상응하는 가격’으로 바로잡아야 한다는 것이다.

구체적 방안으로는 주택용 전기요금제 누진구간 축소, 저소득 계층 지원을 위한 기본사용량 무상 공급, 산업용과 일반용 종별요금의 전압별 요금체계로 전환과 연간 10%씩 5년간 인상하는 방안을 제안했다. 홍교수는 전기요금 정상화를 통한 국가재정 확보, 신시장기회와 성장, 일자리 창출로 에너지 소비의 공평성과 에너지복지가 강화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기호 한국가스공사 경영연구소장은 ‘천연가스 요금체계 개선 방안’ 발표를 통해 현행 천연가스 요금 결정방식을 설명하면서, 천연가스 소비자요금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원료비와 관련해 원료비 연동제의 주요 내용과 특징을 설명했다.

이 소장은 도시가스요금 원료비 연동제의 유보 조항에 따른 미수금 문제, 해외자원개발사업 확대에 따라 나타난 규제·비규제사업 구분의 모호성 문제와 실질적 수요관리 요금체계의 접근 필요성을 지적하면서, 도시가스 원료비 연동제 유보 조항 구체화, 경제적 효과 분석 의무화, 회수기간 및 한도 제한 규정 신설 등으로 연동제 유효성 제고 방안과 해외자원개발 프로젝트 투자 시 규제사업에서 제외하는 방안과 환경을 고려한 효율성 제고를 고려한 요금제도 등을 제안했다.

윤원철 한양대 교수는 ‘열요금 체계의 문제점과 개선방안’ 발표를 통해 현행 연료비연동제는 저가 열원개발에 대한 유인책이 부재하고 연료비 상승분의 실제 요금 반영정도 미약하다고 지적하면서 이에 대한 해결 방안으로 저가열원개발에 대한 인센티브 부여, 물가당국의 과도한 개입을 일정 부분 해소할 수 있도록 법규와 규정의 명확화 등을 제안했다.

또한 열요금상한제 재정비를 위해 유인규제 방식 도입, 권역별 혹은 사업 특성별 상한 도입, 사업자/사업장별 상한 도입 등의 필요성을 제기했다. 특히 현행 단일상한제가 지역난방공사를 제외한 타 사업자들의 어려운 사업요건을 반영하지 못하고 사업자별 지역간 교차보조 문제를 지속시킨다며 지역난방공사를 기준으로 열판매요금을 설정하면 안된다고 강조했다.

이를 해소하기 위해서는 사업장별 차등요금제도를 도입하고 최저가 입찰제를 통한 사업자 선정, 경쟁가능 시장으로의 전환, 열판매요금 현실화가 중장기적으로 추진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주제발표 후 이어진 토론에서 조성경 명지대학교 교수는 전기요금 현실화는 필요하지만 당면한 전력위기를 포함한 에너지 문제를 해결하는 만능열쇠가 아니라며 국민의 삷에 궁극적으로 어떻게 영향을 미칠 것인지를 분석하고 국민에게 설명하고 의견을 듣는 것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력위기는 에너지가격체계는 물론 에너지시스템과 에너지소비 문화의 획기적 개선을 통해서만 확실하게 넘어설 수 있다는 것이다.

석광훈 에너지시민연대 정책위원은 가격왜곡 개선방안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제안했다. 비생산적 탈석유-전전화추세 저감을 위해 유류, 전력의 동시적 세제조정이 필요하고 발전상업자의 LNG터미널접근성, 국내판매 등 구조적 개선이 시급하다고 주장했다.

섹션3에서는 에너지가격 안정화를 위한 중장기 정책방향에 대한 3개 주제발표와 토론이 이어졌다.

권동명 연세대학교 교수는 ‘에너지이용 기술개발 및 확산방안’ 발표를 통해 스마트그리드, 에너지관리시스템(EMS), 에너지저장장치(ESS) 등의 현황과 과제를 발표했다.

스마트그리드 보급확사늘 위해서는 스마트미터 보급 확대, 전력정보 데이터 고유, 활용을 통한 새로운 전력서비스 시상 창출 등 스마트기기를 활용한 신시장 창출과 신사업모델 확산이 필요하고 법, 제도 개선 역시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했다.

에너지관리시스템의 보급확산을 위해서는 다양한 기술을 활용할 수 있도록 피크요금제 개선 등 인센티브 부여와 규제 재설계를 위한 제도개선과 법령정비, 규모에 따른 EMS 구축비용을 합리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방침 수립, 국제기준에 부합한 표준 제시, 무정적 무선 미터 활성화를 꼽았다.

에너지저장장치 보급화산을 위해서는 RPS와 연계해 신재생발전사업자에게 설치를 유도하고 일정규모 이상의 대규모 사용자를 대상으로 설치를 권장하는 한편, 시간대별 차등요금을 활용, 전력부하 이전과 ESS 투자확대를 유도해야 한다고 설명했다. 또 비상전원으로 ESS 설치시 법적 최소한의 요구용량외 추가 용량에 대해서 수요관리자원으로 활용가능하도록 제도 정비를 주문했다.

이창호 한국전기연구원 전력산업연구센터 센터장은 ‘에너지 공급비용 절감방안’ 발표를 통해 과거 전력공급비용은 설비비와 연료비로 구성되었으나 환경비용, 사회적 비용 등이 새로운 비용요소로 대두되는 등 크게 상승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서 전력시장에서의 구입방식 및 현물시장 가격결정방식을 개선해 발전부문 가격을 안정시키고 전력시장에서 수요자원 조달 및 입찰을 허용해 시장가격 폭등을 방지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절약기술 보급확대 및 에너지소비절약을 위한 새로운 요금제 및 규제정책을 마련해 신규 설비수요 및 연료사용을 감소시켜 전력공급비용 하락을 이뤄야 한다고 설명했다.

류권홍 원광대 교수는 ‘에너지와 창조경제 - 법제도 개선’ 발표를 통해 우리 경제에 필요한 에너지의 안정적 공급이라는 수동적인 에너지 안보의 시각에서 탈피해 에너지 관련 산업에의 참여로 신기술 개발, 양질의 일자리 창출, 국가의 장래 먹거리 개발이라는 적극적이고 능동적인 시각으로의 전환을 촉구했다. 그리고 에너지 산업의 육성을 위해서 주도 주체의 문제, 관련서비스 사업 구축 문제, 투명성 확보를 위한 공개보고서 및 자원개발전문가 제도 도입 문제 등이 해결되어야 하며, 이를 위한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역설했다.

또한 우리의 현실에 맞고 경쟁력 는 신재생에너지의 개발과 효율적인 수요관리체계의 구축을 위해 정보와 자료의 수집과 분석, 그리고 선진제도의 도입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어진 토론에서 온기운 숭실대 교수는 에너지부문 창조경제를 위해 자원 자주개발률 개념에 대한 합리적 해석, 예비타당성 조사 개선, 자원 전문인력 확보, 금융지원 강화, 기술수준 향상, 메이저 육성 등의 필요성을 강조했다. 그는 또 에너지공급비용 절감을 위해 전원믹스중 천연가스 비중을 높이고 분산형 전원을 확대하며, 신재생에너지 비중도 현실화 하는 등 합리적으로 설정하는 한편, 전기요금 현실화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권헌영 광운대학교 교수는 향후 중장기 에너지정책은 어느 분야에서 계획적 정책을 쓸 것인가, 어느 분야에서 시장적 정책을 쓸 것인지를 분명히 정리하고 조화방안을 수립하는데서 출발해야 한다고 말하고 평등권과 사회복지, 에너지기본권을 보장하는 방안도 마련돼야 한다고 부연했다. 그는 또 에너지정책은 국민의 일상생활과 밀적한 내용으로 국민의 참여가 정책성공의 필수요소라고 전제하고 정책결정과정을 관리할 수 있는 제도적 기반이 마련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케냐 특명, 2016년까지 전력 6700㎿ 이상 생산하라

케냐 특명, 2016년까지 전력 6700㎿ 이상 생산하라
- 40개월 이내에 5538㎿ 추가 발전이 목표 -
-우리 기업, 해외자본 집중되는 신재생에너지분야 진출 노려야 -



□ 케냐, 에너지데이 행사 개최

 ○ 2013년 9월 9일 케냐 정부의 핵심 에너지 개발사업을 촉진하기 위한 에너지데이(Energy Day 2013)을 개최. 케냐 에너지 장관을 비롯한 산업부장관, 재무부장관, 수자원 및 환경부장관, 교통인프라부 장관, 광산개발부 장관 등이 대거 참석해 기조연설을 했음. 케냐 내 전력관련 정부기관인 전력공사, 발전공사, 송전공사, 지열발전공사, 지방전기화사업청, 케냐석유공사, 송유관공사, 케냐정유회사, 원자력발전위원회 등이 참석해 2016년까지 5000㎿ 이상의 전력생산을 위해 기관별로 어떤 프로젝트를 추진할 것인지를 발표했음.

케냐 에너지데이 컨퍼런스 장면
자료원: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

 ○ 이번 행사에는 케냐전력분야 핵심 공여기관인 세계은행, 프랑스국제개발(AFD), 중국수출입은행, 아프리카개발은행(AfDB), 유럽개발은행(EIB), 일본국제협력단(JICA), 독일뱅크그룹(KfW) 등과 케냐 내 다국적기업들이 대거 참가함. 1500여 명이 참가해 케냐 전력개발에 지대한 관심을 드러냈음.

□ 2016년까지 40개월 안에 5538㎿ 추가 생산

 ○ 이 행사의 핵심 내용은 지금부터 40개월 후에 해당하는 2016년까지 5538㎿를 추가, 총 6700㎿ 이상의 전력을 생산한다는 것임. 이를 통해 상업용 전기료는 현재 14.14센트에서 9센트, 가정용은 19.78센트에서 10.45센트로 대폭 낮춰 전력 인프라 개선 -> 해외 투자유치 활성화 -> 경제개발계획 비전2030 추진 가속화 등의 효과를 노리겠다는 것

 ○ 40개월간 각 발전유형별 발전계획은 수력 24㎿, 화력 250㎿, 지열 1646㎿, 풍력 630㎿, 석탄화력 1920㎿, LNG 가스발전 1050㎿, 복합발전 18㎿등 총 5538㎿이며, 그 중 재생에너지 발전(지열, 풍력, LNG 포함)이 60%를 차지할 예정임.

케냐 5000㎿+ 발전계획(2013~2016년)
자료원: 케냐 에너지부

 ○ 이 프로젝트의 성공 여부는 결국 파이낸싱에 달려있음. 우후루 대통령은 기조연설을 통해 케냐 정부가 9억 달러를 배정했으며 아프리카개발은행 1억 달러(지열발전), 중국 10억 달러(에너지 분야), 세계은행과 프랑스국제개발(AFD)의 440㎿급 메넹가이 지열발전소 개발 1단계 사업에 대한 자금지원 등을 확보했다고 발표

 ○ 그 외에도 케냐 북서부 세 지역에서 상업성 원유 시추로 매일 5000배럴 이상의 석유 생산이 기대되며 라무 지역에서는 52m의 천연가스층이 발견돼 장기적으로 석유-가스를 통한 자원확보를 병행할 예정임을 시사

□ 시사점

 ○ 세미나에 참가한 정부 유력인사에 따르면 2016년까지 5000㎿ 이상 추가 발전 프로젝트는 대통령 특별지시에 따른 것으로 ‘2016년까지 절대적으로 이뤄야 할 과제’라면서 긴장된 모습을 보였음. 케냐 정부는 세미나를 필두로 동아프리카 에너지개발 세미나(9월 10~13일)를 연이어 개최하는 등 전력분야 투자 유치에 진력하는 모습을 보임.

 ○ 케냐 정부의 공개 자료에 의하면 2014~16년 지열, 풍력, LNG 분야에 수많은 프로젝트들이 추진될 예정임(첨부 자료 참조). 특히, 총 5538㎿ 중 60%에 해당하는 3326㎿ 발전이 해외자금으로 진행되는 재생에너지 분야이므로 우리 기업도 재생에너지 분야 발전 프로젝트 참가, 관련 전력기자재 수출 등의 기회를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함.


자료원: Energy Day행사 현장인터뷰 및 현장입수자료, 코트라 나이로비 무역관 자체분석 등

2013년 9월 23일 월요일

이달 초안이 발표될 에너지기본계획에 거는 기대

이달 초안이 발표될 에너지기본계획에 거는 기대
2013년 09월 03일 (화)정욱형 기자  ceo@energykorea.co.kr
  
올여름은 지독하게 더웠습니다. 기상대 관측사상 최고 온도를 기록한 도시도 여러 군데 였고, ‘사상 유례없는 폭염과 가뭄’ 이라는 뉴스 헤드라인도 자주 접했습니다. 여기에 자주 바닥을 드러냈던 전력예비율은 온 국민에게 말 그대로 ‘불타는 여름’을 선물했습니다. 그동안 기후변화를 막겠다고 진행한 에너지절약운동과는 판이하게 다른 전기절약정책이 동원됐습니다. 전력업계 종사자들은 마치 죄인이 된 심정으로 여름을 보냈다고들 하구요.

여름과 겨울을 번갈아 진행되는 전력부족현상, 앞으로는 막을 수 있을까요? 발전소 부지확보나 송배전망 건설은 계속 난항을 겪고 있고, 원가에도 못 미치는 낮은 전기요금으로 늘어나는 수요를 감당하기는 턱없이 부족한 현실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전체 전력소비의 50%이상을 차지하는 산업용 요금은 그대로 두고 가정용 전기요금만 손보려는 새누리당 에너지특위의 정책방안은 여기저기 비판을 받고 있습니다. 세계적인 경기침체로 자국의 제조업을 보호하자는 움직임이 선진국들을 중심으로 이어지고 있지만 우리나라가 낮은 전기요금을 바탕으로 한 에너지다소비제조업을 계속 육성하는 것은 시대적 착오입니다.
에너지 수요와 공급에 대한 정책방향을 근본적으로 바꾸어야 할 때입니다. 무엇보다 정부가 언제까지 전기를 포함한 에너지의 수요와 공급을 책임질 수 있을지를 생각해야 합니다.

이번 달에 국가에너지기본계획의 초안이 발표될 것입니다. 앞으로 20년 후까지의 에너지계획이 포함됩니다. 하지만 안전과 비리문제로 얼룩진 원자력과 예상보다 낮은 수요증가를 보이는 것은 물론 전력계통 안정성을 위협받는 신재생에너지가 정부의 발목을 잡고 있습니다.

가스도 ‘셰일가스 혁명’으로 그 가치가 상승하고 있지만 국내에 미치는 영향은 크지 않을 것이라는 예측이 일반적입니다. 그나마 세계적으로 부존량이 많은 석탄은 기후변화와 온실가스 감축문제에 대응하지 못하는 치명적인 단점이 있습니다.

한마디로 에너지 소비증가는 자명한데 공급을 늘릴 에너지 자원은 마땅하지 않습니다. 역사상 최고의 전략가로 불리는 나폴레옹, 제갈량이나 이순신 장군이 살아온다고 해도 쉽지 않은 일일 수 있지만 이번 달에 초안을 세우고 연말까지 계획이 확정될 제2차 에너지기본계획이 현실여건을 충분히 반영한 합리적인 에너지믹스를 도출할 수 있길 바랍니다. 국민들은 더이상 에너지 수급불안을 용납하지 않을 것이니까요.


*상기 기사는 에너지코리아뉴스의 자매지 월간<CEO ENERGY>2013년 8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

차기 에너지혁명 셰일오일(Shale Oil)

차기 에너지혁명 셰일오일(Shale Oil)
2013년 08월 06일 (화)계충무 국제아동돕기연합 고문  chungmkae@gmail.com
오일셰일과 셰일유 
셰일유는 케로젠유(kerogen oil) 또는 유혈암유(oil-shale oil, 頁巖油)로도 불린다. 유혈암(oil shale, 油頁巖)을 열분해, 수소첨가 또는 열 용해를 통하여 얻어지는 비 전통석유를 말한다. 이러한 제조 공정에서 유혈암 속에 있는 유기물질(kerogen)을 합성 석유나 가스로 변환시킨다. 이렇게 생산된 석유는 곧바로 연료로 사용되거나 또는 정유공장 공급 원료의 사양에 맞추기 위해 수소를 첨가하고 유황분과 질소 같은 불순물을 제거한다.

혈암(shale, 頁巖, 이후부터 ‘셰일’로 칭함)은 점토(粘土) 성분이 호수 또는 바다 밑에 가라앉아서 굳어져 이루어진 퇴적암의 일종이다. 오일셰일은 동식물의 잔재가 이 셰일 속에 박혀서 고열과 압력을 받아 케로젠으로 변하여 생성된 화석연료이다. 케로젠은 그 생성원인이 다양하여 일정한 화학적 구조를 갖고 있지 않다. 그러나 모든 종류의 케로젠은 주로 탄화수소로 구성되며 얼마간의 유황, 산소와 질소 그리고 여러 종류의 광물질을 가지고 있다. 이 케로젠이 고열과 고압을 좀 더 받으면 전통석유가 생긴다고 이해하면 된다.

광물유(鑛物油)의 원재료이기도 한 오일셰일을 인류는 선사시대 이래 일반적인 처리과정을 거치지 않고 사용한 기록을 확인할 수 있다. 철기시대 영국인은 오일셰일을 광택 내서 장식품도 만들었다. 오일셰일의 사용에 관한 최초기록은 14세기 초 스위스와 오스트리아에서다. 1596년 한 의사가 오일셰일이 치유성질을 가지고 있다고 기록한 바도 있다.

17세기 전환기에 이태리 모데나 거리를 밝히는데 오일셰일이 사용되었다. 1964년 영국정부는 암석의 일종에서 역청, 타르, 기름을 다량으로 축출하는 방법을 찾아낸 세명의 사람들에게 특허권을 주기도 했다. 오일셰일의 현대식 광산업은 1837년 프랑스 아우둔(AUTUN)에서 시작되어 스코틀랜드, 독일 그리고 여타 국가로 전파되었다.

19세기에는 램프를 밝히는 등유 생산에 집중하게 되었는데, 그 이유는 산업혁명이 일어나 등유 수요가 증가 일로에 있었기 때문이다. 연료유, 윤활유와 그리스(grease: 기계윤활유) 황산암모니움(유안: 硫安) 등도 생산되었다. 유럽의 오일셰일 산업은 1차 세계대전 직전에 팽창하였다. 당시 전통석유가 제한적이었는데 반하여 내연기관인 자동차와 트럭이 대량생산됨에 따라 연료인 휘발유 수요가 증가하였기 때문이다.

비록 에스토니아와 중국은 2차 대전 후에도 오일셰일 산업이 계속 유지되었으나, 대부분의 여러 나라는 처리 비용이 비싸고 값싼 석유를 구할 수 있었기 때문에 오일셰일산업을 포기하였다. 1973년 아랍석유 금수조치 후 세계 석유위기로 이어짐에 따라 1980년 세계 오일셰일 생산량은 4600만 톤으로 절정을 이루었다가 1980년대 전통 석유가격이 낮아지자 2000년에는 1600만 톤으로 급감하였다. 1982년 5월 엑슨은 콜로라도에서 시작하려던 50억 달러에 달하는 오일셰일 사업을 낮은 유가와 비용 증가로 취소하였다. 이로 인하여 2000명이 직장을 잃고, 주택 차압이 줄줄이 일어났으며, 수많은 소기업이 파산했다. 1986년 레이건 대통령은 합성연료사업을 폐기시켰다.

21세기로 들어서면서 반전이 일어났다. 오일셰일 산업이 살아나기 시작한 것이다. 2003년 미국은 오일셰일 발전사업을 재출발시켰다. 에너지 정책 법안에 따라 2005년 미국 정부는 오일셰일과 오일샌드 축출사업을 허가하면서 토지 임차제도를 도입하였다.


오일셰일산업 2008년 현재 브라질, 에스토니아 그리고 독일과 러시아(舊 소련)에서 어느 정도 오일셰일이 산업적으로 이용되기 시작했다. 그리고 일부 국가는 추가적으로 오일셰일 매장량 평가에 착수하거나 또는 시제품 공장을 세웠다. 반면, 일부 국가는 오일셰일 산업을 폐지했다. 에스토니아, 브라질과 중국에서는 오일셰일로 석유를 생산했다. 또 에스토니아, 중국과 독일에서는 발전소 연료와 시멘트 생산에도 이를 활용했으며, 석유화학공정에도 사용했다.

2009년 현재 세계 사용량의 80%를 에스토니아에서 주로 발전연료로 사용했다. 오일셰일 발전소가 에스토니아에서 지어졌으며, 2967㎿, 중국이 12㎿,독일이 9.9㎿, 규모의 발전소가 세워졌다. 이스라엘, 루마니아, 러시아에서도 오일셰일 발전소를 가동시켰지만, 가격면에서 더 저렴한 천연가스 발전소로 대체되었다. 이외 요르단과 이집트가 오일셰일 발전소 건설계회을 수립했으며, 캐나다와 터키가 석탄과 혼합하여 사용하고 있다.

에스토니아만 오일셰일을 발전소 주 연료로 사용하고 있는데, 2005년에는 전국 전력생산의 95%를 이 오일셰일이 사용된 것으로 나타났다.

  

세계에너지협의회에 의하면 2008년에 오일셰일로부터 생산된 셰일오일은 93만 톤, 일산 1만7700 배럴에 해당된다. 이 가운데 중국이 37만5000톤, 에스토니아가 35만5000톤, 브라질이 20만 톤을 점하고 있다. 한편 그해 전통 원유생산량은 39억5000만 톤, 일산 82억1200만 배럴이었다.


셰일오일 추출공정 대부분의 오일셰일 개발은 채광 후 다른 곳으로 옮겨져 전력생산에 직접 연소시키거나 일정 공정을 거쳐 제품으로 생산한다. 대부분의 지표 채광의 일반적인 방법은 노천광 즉, 노천채굴이었다. 이 채광법의 절차는 우선 오일셰일 광상을 덮고 있는 덮개 물질을 벗겨내서 광상을 지표에 노출시켜 파내는 것이다. 지하채굴 방법은 굴을 파서 갱도을 설치하여 캐낸다. 오일셰일로부터 유용한 성분의 추출은 새로운 기술에 의하여 지하에서 이루어지긴 하지만(현지또는 지하 광상에서, In-situ) 대부분은 지상에서 이루어진다.

지상이든 지하든 어느 경우에도 오일셰일 속에 있는 케로젠이 열분해로 화학반응 일으켜 셰일오일(합성원유)과 셰일가스로 변환된다. 대부분의 이 전환기술은 무산소 상태에서 오일셰일을 가열하여 케로젠이 분해되어 가스와 응축 가능한 오일, 그리고 지꺼기가 남도록 처리하는 것이다. 이과정은 대개 섭씨 450℃와 500℃ 사이에서 일어난다. 실상 분해는 보다 낮은 온도(섭씨 300℃)에서 일어나는데 고온에서 신속히, 보다 완전하게 이루어진다.

  

현장처리과정(In-situ)은 지하에 매장된 오일셰일을 가열하여 변환을 일으키는 것이다. 이 기술은 지상의 공정보다 동일한 광구 면적에서 더 많은 오일을 생산하는데, 그 이유는 보다 깊이 들어 갈 수 있기 때문이다. 일부 회사는 이에 관한 기술의 특허등록을 이미 마쳤다. 그러나 대부분의 이러한 방법들은 시험단계에 있다. 다음 2가지 방법은 쉽게 구별이 된다. 하나는 채광하지 않고 지하에서 처리하는 TIS(True In-Situ)이고 다른 하나는 수정된 방법인데 오일셰일 일부를 지상으로 옮겨 가공 처리해 가스를 쉽게 추출하는 방법이다.

오일셰일을 열분해하는 기술에 관한 특허가 수백개나 있으나, 단지 열 두개 정도만이 시험중이다. 2006년 현재 ▲Kivite ▲Galoter ▲Fushun ▲Petrosix 등의 추출 공정 등 4가지 기술만이 상업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오일셰일에서 뽑아낸 셰일오일은 원유를 대신해서 모든 용도에 직접 사용 될 수 없다. 이 오일은 전통 원유보다 올레핀. 산소, 질소 등의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어떤 셰일오일은 유황과 비소 함량이 높다. 미국의 기준유가를 결정하는 WTI(West Texas Intermediate)와 비교해보면 유황은 셰일유가 평균 0.76%(0~4.9%)인데 WTI는 최대 0.42%이다. 요르단의 셰일오일의 유황함량은 9.5%나 된다.

그리고 미국 그린 리버층(Green River Formation)의 오일셰일의 비소 함량은 문재가 되고 있다. 이러한 물질들의 높은 함량은 정유공장의 공급원료로 사용되기 위하여 수소첨가 등 제품사양을 높여 주어야 한다. 지상에서 생산된 셰일오일의 API는 지하에서 생산된 것보다 낮다. 셰일오일은 등유, 항공유, 경유 등중질유(中質油) 생산에 적합하다. 1900년대와 2000년대 중질유(中質油) 특히 경유의 세계적인 수요가 급상승했다. 그러나 수소화분해(Hydrocracking)와 같은 적절한 공정을 거치면 셰일오일로도 휘발유를 생산 할 수 있다.


경제성과 환경문제 ‘상존’ 경제성 있는 셰일오일의 매장량은 거의 알려져 있지 않다. 오일셰일 광상을 개발하려는 여러 시도는 단지 그 지역에서 셰일오일 생산비가 원유 또는 대체유 가격보다 낮아야 가능하다. 랜드社(RAND Corporation)의 조사에 따르면, 미국 지상 열용해 방법(채광, 용해로, 제품개선시설, 부대시설, 폐암석처리 등)으로 생산되는 셰일유가격은 2005년 불변가격으로 배럴 당 미화 70~95달러 선이다.

이 비용의 추정은 케로젠 함량 크기와 추출의 효율성을 고려해야한다. 운영 수익을 얻으려면 원유 가격이 항상 셰일오일 생산비를 초과해야 한다. 가상적인 복합시설(shale oil production complex)을 세워 생산비를 검토해보면 생산개시 후 5억 배럴을 생산하고 나면 생산비가 35~70%까지 내려간다. 상업적 생산 개시 후 매년 2만5000 배럴씩 증산하게 되면 12년차에 생산비는 배럴당 35~48달러 선으로 후퇴한다. 10억 배럴의 생산량을 달성하고 나면 생산비는 30~40달러까지 내려 갈 수 있다. 따라서 1세대 생산시설은 기술적으로 경제적으로 큰 부담을 갖게 된다.

2005년 로얄 더치 쉘은 지하공정으로 셰일오일을 생산할 경우 원유가 30달러 상회해도 경쟁 할 수 있다고 발표한 바 있다. 2004년 미국 에너지청(DOE)은 쉘의 기술력과 수트아트 오일셰일 프로젝트에 사용된 기술로는 유가 25달러와도 경쟁할 수 있다고 했다. 오일셰일 산업의 실행가능성의 가장 중요한 척도는 에너지투입 대비 에너지회수율 EROEI(Energy Return On Energy Investment)이다. 1984년 연구는 오일셰일 광상에 따라 0.7~13.3으로 평가했다.

그러나 알려진 오일셰일 추출산업은 3~10이라고 주장하고 있다. 2010년 세계 에너지전망은 지하공정으로 할 때 EROEI는 4~5이며, 낮게는 2라고 발표했다. 그러나 추출 후 남은 혈암을 연료로 사용하거나 셰일가스를 활용하면 효율이 개선된다고 덧붙였다. 그 외 경제성에 영향을 주는 것은 상당한 공업용수가 있어야 하며, 수자원을 오염시키는 부담도 따른다.

전통석유 근원암과 같이 오일셰일 광상도 모든 석유생산지역에 존재하는데 대부분 심층에 부존돼 있어 경제성이 없다. 모든 석유와 가스자원과 같이 분석가들은 오일셰일 자원과 오일셰일 매장량을 구분한다. 자원이라는 말은 묻혀 있는 오일셰일이며 매장량은 현재의 기술로 오일을 추출하여 경제성이 있는 것을 말한다. 추출기술이 계속 발전하기 때문에 기획 입안자들은 회수 가능한 케로젠만을 평가한다.

비록 수 많은 나라에서 오일셰일이 나타나고 있지만 단지 33개국만이 경제성 있는 광상을 보유하고 있다. 광상이 잘 탐사됐고, 매장량으로 분류할 수 있는 잠재 광상을 보유한 국가는 미국(서부의 그린리버 광상), 요르단(엘라준라쥰), 호주(퀸스랜드), 몽고(남부), 러시아, 프랑스, 독일, 스웨덴, 에스토니아, 브라질, 중국 등이다.

이 광상의 오일셰일은 톤당 40리터의 셰일오일을 산출할 수 있다고 한다. 2005년에 평가된 오일셰일의 자원은 4110억 톤이다. 이 가운데 일정량만이 회수되겠지만 석유로 환산하면 2.3~3.3조 배럴에 해당된다. 국제에너지기구의 2010년 세계에너지 전망에 의하면, 세계 오일셰일 자원은 5조 배럴의 원유 원시매장량과 동일하며 이 가운데 1조 배럴은 기술적으로 생산이 가능하다고 분석했다. 참고로 2007년 기준 1.3조 배럴의 확인된 전통원유매장량과 비교하면 거의 같은 수준이다.

가장 큰 광상은 미국 콜로라도, 유타, 와이오밍주에 걸쳐있는 그린리버 지층이다. 이 가운데 70% 이상이 미 연방정부가 소유 관리하는 땅에 부존되어 있다.

세계 오일셰일 부존자원의 62%를 미국이 점유하고 여기에 소련과 브라질을 합하면 86%에 이른다. 그러나 이 수치는 바뀔 수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현재 여러 곳의 광상이 탐사중에 있으며, 분석 중이기 때문이다. 워스컨신 메디선대학교의 캐롤 교수는 중국 서북부의 오일셰일광상은 기존 평가에 누락됐는데 그 규모는 미국의 그린리버와 맞먹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오일셰일 채광은 환경에 여러 가지 영향을 끼친다. 노천광이 갱도채굴보다 영향이 크다. 갑작스런 지표 노출로 인하여 산성광산배수가 생기며, 산화작용이 일어나고, 수은과 같은 광물질이 지표수와 지하수를 오염시킨다. 부식이 늘어나고 유황가스가 배출되며, 처리과정과 수송 중 분진이 발생하여 대기를 오염시킨다. 2002년 에스토니아에서는 한 발전소가 오일셰일을 주연료로 사용해 대기오염의 97%, 폐기물의 86%, 수질오염의 23%를 발생시켰다.

오일셰일 산업은 광산 지역의 생물학적 및 휴양지의 가치에도 악영향을 끼친다. 연소와 열처리 과정에서 많은 폐기물이 생긴다. 이외에도 처리과정에서 탄산가스와 온실가스를 배출시킨다. 환경론자들은 전통 화석연료보다 많은 온실가스를 배출한다며 오일셰일의 사용을 반대하고 있다. 향후 탄산가스를 회수, 저장하는 기술이 발달한다면 가스배출량을 줄일 수 있을지 모르지만, 지하수 오염문제는 여전한 숙제이다.

어떤 해설자는 오일셰일산업의 공업용수에 관해 논평하고 있다. 앞서 거론한 에스토니아 발전소의 경우 91%의 물이 사용됐다. 지상공정으로 처리하게 되면 셰일오일 1배럴을 생산하는데 5배럴의 물이 필요하다. 2008년 미국 토지관리국 발표에 의하면, 오일셰일 1톤을 처리하는데 2~10갤론의 폐수가 나온다고 했다. 지하공정일 경우 지상공정의 1/10로 줄어든다.


왜 차기 에너지혁명이라 불리나? 불과 4~5년 전만해도 전통석유생산은 절정에 달했다고 “파티가 끝났다”(Party is over), “늑대가 문앞에 와 있다”(Wolfs are at the door) 등으로 떠들썩했다. 필자도 이와 관련된 글을 몇 편 썼다. 이때도 찬성하는 자가 있다면, 항상 반대론자도 있기 마련이었다. 반대론자는 값만 맞으면 에너지는 확보할 수 있다는 주장을 펼쳤다. 즉, 비관론자와 낙관론자가 있었다.

이탈리아 사람들은 낙관적이라 그런지 ENI(이탈리아 국영석유회사) 부사장 출신도 낙관론자 중 대표적인 인물이었다. 반면, 독일 출신 한 저널리스트는 아주 비관적이었다. 그리고 어떤 이는 석유가 고갈되어 못 쓰기보다 온실가스로 인한 지구 온난화 때문에 사용되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지구상에서 매일 8200여 배럴의 석유가 사용되는데 이를 대체할 에너지가 과연 있겠는가? 앞으로도 30~40년은 충분히 사용될 것은 자명해 보인다.

하지만, 세계적 회계법인 PwC(PricewaterhouseCoopers)는 에너지 혁명이 시대적인 흐름이라고 내다봤다. 내부 보고서에 의하면, 2035년까지 세계 셰일오일 생산량은 1400만 배럴에 이르며 세계 총 석유공급량에 12%를 점하게 될 것으로 예상했다. 이로 인하여 2035년 유가는 25~40%가 내려가 배럴당 83~100달러 선으로 예측했다. 미국의 에너지정보국 EIA(Energy Information Administration)은 셰일오일 생산량을 적게 잡아 배럴당 133달러로 전망했다. 이러한 저유가 시대로 말미암아 세계 GDP는 2.3~3.7% 증가할 것으로 예상하고 그 액수가 현 GDP 가치 기준으로 1.7~2.7조 달러에 달한다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수익은 한국, 일본, 인도 등 석유수입국은 혜택을 보아 GDP가 4~7% 상승효과를 보겠으나 미국, 중국, 유럽국가 들은 2~5% 정도에 그칠 것으로 예상했다. 이와 반대로 석유수출국가인 중동과 소련은 셰일오일생산에 불참하면 4~10% 정도의 GDP 감소를 예상했다.

셰일오일의 잠재력의 출현은 석유가스산업과 세계 각국의 정부를 위하여 주요한 전략적 기회와 도전이 될 것이다. 이는 또한 여러 나라에서 에너지가 안정적으로 확보됨에 따라 지정학 역학에 영향을 주어 OPEC의 영향력이 축소될 것을 의미한다. 셰일오일 생산자들은 환경, 수익, 수요 등 여러 가지 사항을 고려하여 비즈니스 모델과 기술개발을 심도 있게 검토할 시점이라는 것이다.

우리나라의 지난 5년간 해외자원개발의 결과는 단기실적주의와 세계 에너지 시장 변화에 대한 무지로 수조억원의 손실이 발생했다. 이제는 장기적인 안목으로 세계에너지 흐름을 상세히 파악하여 장기목표를 우리의 능력에 맞게 설정하여 시간이 걸려도 하나씩 하나씩 추진해야 한다. 안이하게 남이 차려 놓은 밥상을 웃돈 주고 살 것이 아니라 이제는 밭에 나가 싱싱한 채소도 따고 레시피에 따라 음식을 만들어 먹어야 하는 그런 시점이다.

석유개발은 좋은 광구를 확보하여 면밀한 탐사를 거쳐 그 결과에 따라 광구를 개발하는데 묘미가 있다. 개발 목표를 정해 놓고 자기 임기안에 달성만 하면 되는 생각으로 어떤 댓가를 치르고서라도 무리하게 덤벼드는 비지니스가 아니라는 것을 설마 몰랐을까? 다만 제 돈이 아니니까 다소 무리해서라도 업적을 남기려는 욕심에서 저지른 과욕의 소치이지 또 다른 이유가 있겠는가? 어찌되었던 석유개발에 몸담고 있었던 한 사람으로서 어처구니 없는 큰 손실을 낸 것을 보니 안타깝고 향후 자원개발은 이를 타산지석으로 삼아 좋은 실적을 이루길 바란다.

*상기 기사는 에너지코리아뉴스의 자매지 월간<CEO ENERGY>2013년 8월호에 게재된 기사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