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부 차관 "분산형 전원 활성화해야"
송전탑 갈등 근본 해결책…7차 전력수급계획 반영
(창원=연합뉴스) 김영만 기자 = 765㎸ 송전탑 건설 갈등과 관련, 산업통상자원부 한진현 2차관은 18일 "고압 송전탑 및 송전선로, 대규모 발전단지 건설 등의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기 위해 전력 수요지 근처에 분산형 전원을 활성화하는 쪽으로 나아가야 한다"고 밝혔다.
한 차관은 이날 경남 창원에서 연 기자 간담회에서 이같이 밝힌 뒤 "분산형 전원은 소규모 발전소와 에너지 저장 장소 등을 세워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 발전소는 신재생에너지나 화력으로 전기를 생산한다.
심야에 전기를 충전해 뒀다가 피크 시간대에 전력을 쓸 수 있는 시설도 갖춘다고 덧붙였다.
이 같은 분산형 전원 체계는 오는 7차 전력 수급계획에 반영할 것이라고 한 차관은 밝혔다.
현재의 전력 수급 체계는 경제성 원칙을 고수, 전력 손실을 최소화하는 고압 전력 생산 및 송전 시스템 일색인데 밀양 송전탑 등과 같은 사회적 갈등에 비춰볼 때 한계에 온 것 같다고 지적했다.
원자력발전소와 관련해 그는 "원전에 대해 공론화하는 과정을 거치고 있다"면서 "관계 부처와 협의해 조만간 공론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밀양 송전탑 문제와 관련해 한 차관은 "8년간 끌어온 한전과 주민 간 갈등으로 국민이 큰 피해를 보고 있다"면서 "이 갈등이 빨리 봉합되고 합리적이고 건설적인 해법이 나올 수 있도록 진정성 있게 대화를 계속하겠다"고 강조했다.
반대 대책위가 제안한 사회적 공론화 기구의 구성에 대해 한 차관은 "논리적으로나 심정적으로나 옳지 않다고 생각한다"며 "대책위의 제안은 의미가 없다"고 기존의 반대 입장을 재확인했다.
댓글 없음:
댓글 쓰기